
또 오른다, 지하철 요금...
최근 뉴스를 접한 많은 분들이 이런 탄식을 내뱉었을 겁니다.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이 2025년 6월 28일 첫차부터 수도권 지하철 요금을 150원 인상하기로 잠정 합의했습니다.
최종 확정까지 기관별 이사회 절차가 남았지만, 사실상 확정된 분위기입니다.
그럼 이번 인상폭은 어느 정도일까요?

수도권 지하철 요금, 얼마나 오르나?
교통카드 기준 요금 변동
- 일반: 1,250원 → 1,400원 → 1,550원
- 청소년: 720원 → 800원 → 900원
- 어린이: 450원 → 500원 → 550원
현금 1회권 요금 변동
- 일반: 1,350원 → 1,500원 → 1,650원
- 청소년: 1,350원 → 1,500원 → 1,650원
- 어린이: 450원 → 500원 → 550원
왜 수도권 지하철 요금이 또 오를까?
1. 적자 해소
서울교통공사와 수도권 교통기관들은 해마다 막대한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인건비, 전기료, 유지보수비 상승이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2. 무임승차 부담
고령화로 무임승차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수도권 전체 탑승객의 약 20%가 무임승차 이용자입니다.
그러나 대선을 앞둔 정치적 이유로 무임승차 제도 개편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3. 두 번에 나눠 올리는 전략
애초 2023년에 300원을 한꺼번에 올리려 했지만, 물가 충격을 줄이기 위해 150원씩 나누어 인상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시민들이 느끼는 부담은?
교통비 상승이 생활비 압박으로
학생, 직장인, 자영업자 모두에게 교통비는 필수 지출 항목입니다.
특히 식비, 전기요금 등 생활물가까지 동반 상승하는 요즘, 체감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월급은 그대로, 지출만 증가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는 말이 현실이 된 시대.
교통비 150원 인상도 서민들에게는 무거운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요약 정리
- 2025년 6월 28일부터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예정
- 일반 1,550원, 청소년 900원, 어린이 550원 (교통카드 기준)
- 적자 해소, 무임승차 부담 해결은 여전히 과제
- 최종 확정은 각 기관별 이사회 거쳐 공식 발표 예정
마무리하며
빠르게 고령화되는 한국 사회.
교통비 인상은 단순한 가격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적 문제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매일 오가는 지하철. 이제는 150원이라는 숫자보다, 그 안에 담긴 현실을 마주볼 필요가 있습니다.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바꿔나가는 마음" 6월 28일, 그런 하루가 되기를 바랍니다.
